Wednesday, 23 October 2013

South Korea appoints SRK as goodwill ambassador

 

South Korea appoints SRK as goodwill ambassador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d to pursue Khan for over two months before he agreed to officially accept the offer.
Times of Indi


 
NEW DELHI: Shah Rukh Khan is the new poster boy for South Korea — not its conglomerates, but the nation. The Bollywood superstar has just been appointed goodwill ambassador for South Korea.

So you know South Korea only as the land of Samsung and Hyundai? The King Khan could introduce you to Kukkiwon, the world famous taekwondo academy, Psy of Gangnam Style fame and K-pop, the mouthwatering Korean barbeque. To South Koreans, the actor could teach their first cricket team a thing or two about the business of the game — maybe organize the first match between Kolkata Knight Riders and the Koreans. And, perhaps, open Bollywood to a new part of the world.

Khan as a public diplomat and an ambassador of India’s soft power is not hard to imagine. But only if the man can tear himself away from tinsel town to walk the talk. The South Korean government had to pursue Khan for over two months before he agreed to officially accept the offer. They ideally want him to visit South Korea before the maiden visit of their president Park Geun-hye.

The president will make her visit to India in January, where New Delhi and Seoul are expected to upgrade their relations for closer ties at the political and strategic levels. India and South Korea have signed a civil nuclear agreement, but operationalizing that is still a while away. India too has to clear the path for the biggest FDI into this country: Posco that is held up by environmental hurdles in Odisha.

But there is a greater demand, for a greater understanding between people of both countries. But Khan’s superstar status means he has a tiny window of opportunity to play diplomat in real life.

In recent times, India and Malaysia, working at revamping relations, also had a Shah Rukh Khan moment. The Malaysian prime minister Najib Razak, on his first visit to India, requested for the actor’s presence at the formal dinner with the prime minister. Unfortunately, even Manmohan Singh’s office could not get Khan to be present at the dinner, which was the beginning of a new relationship between India and Malaysia.

Interestingly, in December 2008, he received the title of ‘Datuk’ — often equated with the British knighthood — from the Governor of Malaysia’s southern Malacca state, Mohamad Khalil Yaacob.

Clearly, Korea will need a great deal of patience with Khan. In these gloomy days, India needs all the ambassadors it can get.
Source:Times of India 

Thursday, 17 October 2013

2014 GLOBAL KOREA SCHOLRSHIP FIRST TIME EVER, FOR UNDERGRADUATE TO INDIAN STUDENTS

1

Korean National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ducation(NIIED) has announced the plan for recruiting Global Korea Scholarship program for undergraduate degree in Korea.

Interested applicants are instructed to apply for the program following the directions of the attached instruction manual no later than October 31, 2013.
.
Source: mofa.go.kr

Sunday, 13 October 2013

Samsung SDI in Vietnam Recruitment

 
Samsung SDI in Vietnam is currently internationalizing battery manufacturing company. Become the face of this rapidly growing corporation. 
 
1.    Job description
-          Position : R&D, Engineering and Management in SDI Vietnam
      SDI in Vietnam Address : Bac ninh province, Yen Phong I district.
 
2.    No. of Positions : 0
 
3.    Quailifications
-          Graduated or graduates from B.A., M.A from university
-          Intermediate or high English skill,  preference to speak Korean
-          Electronic, Electrical, Mechanical engineering or Liberal arts
 
4.    Takeaways
-          Internship in Korea for 3 months
-          In accordance with regulations in SDI Vietnam
 
5.    Date and how to apply
-           14 Oct(Mon) 00:00 ~ 20 Oct(Sun) 23:59
-          Please send your English or Korean resume by e-mail (nicejob.sdiv@samsung.com)
 
6.    Guidelines for Applicants
-          Resume GSAT (test) interview health check-up Entry
      Resume results    : 25 Oct(Fri)
      GSAT / interview   : 2 Nov (Sat)
      After this          : announcement individually
 
7.    Required Documents
-          Resume with photo

Wednesday, 9 October 2013

[강원포럼]역사를 잊었는가?

 
 유성선 강원대 교수, 시민교육센터 전임교수
장면1. “조선노동당의 당면 목적은 공화국 북반부에서 사회주의 강성대국을 건설하며, 전국적 범위에서 민족해방 민주주의 혁명의 과업을 수행하는 데 있으며 최종목적은 온 사회를 주체사상화하여 인민대중의 자주성을 완전히 실현하는 데 있다.”-북한조선노동당 규약서문.


장면2. “국가안보는 물리적 공격으로부터 국가의 국민과 영토를 보호하는 것이다.”-아모스 조르단(Amos A. Jordan).


장면3. “자신들이 알지도 못하는 나라, 만난 적도 없는 사람들을 지키기 위해 부름에 응한 우리의 아들과 딸들을 기린다.”- 미국 워싱턴 한국전 참전 기념비.


국가정보원이 경기동부연합의 지하조직 RO(Revolutionary Organization·혁명조직) 조직원 등으로부터 확보한 3대 강령의 핵심 키워드는 `주체사상'이다.


주체사상을 지도 이념으로 남한사회를 변혁하고, 남한사회의 자주·민주·통일 실현을 위해 주체사상을 심화·보급·전파한다는 게 강령의 골자이자 조직의 존재 이유다. 이 3대 강령 중 남한사회의 자주·민주·통일 강령을 주의깊게 살펴야 한다.


우리 학생들이 일부 교육의 잘못으로 6·25남침·북침의 개념을 혼동하듯 북한의 인민민주주의혁명 수행에도 이 대남 전략의 3대 투쟁과제가 우리의 민주주의 통일과제와 흡사하다. 먼저 북한과 종북세력들이 주창하는 자주는 미군 철수에 있다. 민주의 구호는 대한민국 정권타도에 있다. 통일은 연방제 통일이다. 따라서 이들이 앵무새처럼 반복하는 민족해방은 주한민군 철수와 남한민족해방이요.


인민민주주의혁명은 남한정권 타도와 인민정권 수립에 있다. 결국 경기동부연합의 지하조직 RO 조직원 등으로부터 확보한 3대 강령의 핵심 키워드는 `주체사상'으로 북한조선노동당 규약서문과 판박이다. 주체사상을 지도 이념으로 남한사회를 변혁하고, 남한사회의 자주·민주·통일 실현을 위해 주체사상을 심화·보급·전파한다는 게 강령의 골자이자 조직의 존재 이유이기 때문이다. 미공개 녹취록에 따르면 이석기 의원은 5월 12일 토론 마무리 발언에서 “존재가 보이지 않는데 엄청난 무기가 있어서 도처에서 동시 다발로 전국적으로 그런 세력이 전쟁을 한다면 그 새로운 전쟁에 대한 새로운 승리를, 새로운 세상을 갖추자”고 주장하고 있다. 이를테면 `보안 사항'임을 전제한 뒤 “A라는 철탑이 있다고 하자. 그 철탑을 파괴하는 것이 군사적으로 굉장히 중요하다”고 발언하고 있다. 이는 더 나아가면 이석기 의원 발언 자체가 통신·철도·유류저장고 등의 국가 기간시설 파괴 계획에 구체적인 지침이 됐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석기 의원의 “민족의 분열을 막기 위해 하루라도 빨리 평화를 실현하자는 취지였다”는 해명은 핑계에 지나지 않는다. 6·25전쟁은 북한 김일성이 대한민국 공산화를 위해 일으킨 남침전쟁이다. 개전 35일 만에 마산, 대구, 포항 및 제주도를 제외한 대한민국이 국가존망의 위기 속에 있었다. 막대한 인명피해는 물론이고 국토는 잿더미로 변했다. 이러한 결과는 이석기 의원과 같은 종복주의자 및 남파간첩인 남로당이 이미 암약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나마 선열들의 생명을 건 전투와 우방국의 전투지원 16개국, 의료지원 5개국, 물자지원 32개국이 있었기 때문에 자유민주주의의 소중한 가치를 회복할 수 있었다. 20~30년 만에 피와 땀으로 일궈온 대한민국을 또다시 잿더미를 만들 수는 없다. 당시 맥아더 장군이 오죽하면 대한민국이 재건되려면 향후 100년이 걸릴 것이라고 한탄했겠는가!

Sunday, 6 October 2013

Musical instruments return home after 120 years

In 1893, ten musicians from Korea navigated to the United States on a special mission of King Gojong (1852-1919), the 26th ruler of the Joseon Dynasty (1392-1910). They played the music of Joseon and received the spotlight in the Chicago World’s Columbian Exposition where 37 countries participated. To promote Joseon as an independent country in the world and differentiate the nation from its neighbors China and Japan, the musicians donated their musical instruments to the United States before returning home.

At the opening ceremony for the “Returned after 120 years: Joseon instruments in the U.S.” exhibition on September 30 Culture Minister Yoo Jin-ryong points at the piri double reeds on display (photo: Jeon Han).
At the opening ceremony for the “Returned after 120 years: Joseon instruments in the U.S.” exhibition on September 30, Culture Minister Yoo Jin-ryong points at the piri double reeds on display (photo: Jeon Han).

Over a century has passed since then and these instruments, currently owned by the Peabody Essex Museum in Boston, will return to Korea for a special exhibition titled “Returned after 120 years: Joseon instruments in U.S. (unofficial translation)”

The exhibition, jointly held by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and the National Gugak Center, will show eight of the donated instruments -- dangbipa (four-stringed instrument with a circular resonator and a bent neck), piri (cylindrical double-reed bamboo oboe), geomungo (six-stringed zither), janggu (hourglass-shaped drum), daegeum (large flute), yanggeum (dulcimer), and saenghwang (free-reed mouth organ made with 17 bamboo pipes).

The janggu drum, played by Joseon-era musicians, has dragon headcleats (photo: Jeon Han).
The janggu drum, played by Joseon-era court musicians, has dragon head cleats (photo: Jeon Han).

The instruments on display hold historical significance in Korean music. The dangbipa is known to be the oldest existing Korean musical instrument. Two piris are also special as they are the only ones with their mouthpieces intact.

The tuning buckles of the janggu drum, which was on display at the Chicago World’s Columbian Exposition in 1893, have retained their colors after over a century. (photo: Jeon Han).
The tuning buckles of the janggu drum, which was on display at the Chicago World’s Columbian Exposition in 1893, have retained their colors after over a century (photo: Jeon Han).

The exhibition will also show photos and records of Joseon’s participation and its pavilion at the Chicago expo, including music-themed paintings by Joseon artists like Kim Hong-do (1745-1806) and other relics related to gugak (traditional Korean music) such as scores and uigwe (royal protocols of the Joseon Dynasty).

The exhibition will be held for two months starting on October 1 and offers free admission. The museum is closed every Monday. More information about the exhibition is available at the homepage of the museum serviced in nine languages: http://www.museum.go.kr/main/index/index002.jsp

By Yoon Sojung
Korea.net Staff Writer
arete@korea.kr

From left: daegeum, saenghwang, piri (photos courtesy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From left: daegeum, saenghwang, piri (photos courtesy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Janggu (photo courtesy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Janggu (photo courtesy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Dangbipa (photo courtesy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Dangbipa (photo courtesy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Yanggeum (photo courtesy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Yanggeum (photo courtesy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Geomungo (photo courtesy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Geomungo (photo courtesy of the National Gugak Center)

Novelist of 70's Korean youth culture dies

Korean Choi In-ho (1945-2013) is not new for those who love Korean films and TV dramas as well as novels. Passing away at the age of 68, the writer is known as a leader of the youth culture of the 1970s.

He initially began his literary career in 1963 when he was a second-grade high-schooler by becoming the youngest writer to win at an annual literary contest held by the Hankook Ilbo, with a short novel titled Into the Hall of the Wall, which took the Korean literary circle by surprise. Later, he wrote vigorously and produced many novels.

Choi won the Rookie of the Year Award with his novel Another Man's Room in 1972. A year later, his novel The Stars Heavenly Home sold more than 1 million copies for the first time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which made him a best-seller writer. This novel was later made into a film and also became a box office hit. In another novel written in the same year, The March of Fools, he wrote about the dreams and loves of Korean college students in the face of social pressures, which created a big sensation among Korean youths at that time. It was also filmed under the same title and became commercially successful, symbolizing an icon of romance in the 1970s.
 
Polish translation of Masquerade (left), French version of Deep Blue Night (images courtesy of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of Korea)
Polish translation of Masquerade (left), French version of Deep Blue Night (images courtesy of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of Korea)

Other popular books of his such as Deep Blue Night, Whale Hunting, and Wanderer in Winter all won popularity among the Korean public and were adapted as films, all of which became box office hits. His novels were also made in TV dramas which won high ratings from Korean viewers. Among his works, The Merchant of Joseon (Sangdo in Korean) and Emperor of the Sea (also known as Haeshin in Korean) were dramatized and aired by MBC and KBS in 2001 and 2004, respectively, which won popularity not only among Koreans but also viewers across the globe, including India, Europe, and the Middle East.
 
Japanese versions of Another Man's Room (left) and Dream Journey to the Peach Blossom Land (images courtesy of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of Korea)
Japanese versions of Another Man's Room (left) and Dream Journey to the Peach Blossom Land (images courtesy of Literature Translation Institute of Korea)

His novels which were translated into English, Japanese, Polish, and French include Deep Blue Night, Another Man's Room, Tower of Ants, Dream Journey to the Peach Blossom Land, and Masquerade.

On September 27, the Korean government awarded Choi the Eungwan Order of Culture Merit, the second highest artistic recognition, for his contribution to Korean literature and Korean popular culture.
- See more at: http://english.president.go.kr/tours/visitor/visitor_view.php?uno=8374&board_no=E10&search_key=&search_value=&search_cate_code=&cur_page_no=1#sthash.WL2YBEfZ.dpuf

source:korea.net

October, Month of Culture: full of arts & cultural events

“Cultural enrichment” has been proclaimed as one of the four policy priority areas of Park Geun-hye’s administration. The cultural enrichment initiative aims to raise the level of happiness of individual citizens by offering them the chance to become a producer and a consumer of culture.

This month, celebrating the Month of Culture, over 1,200 cultural programs have been prepared nationwide.

During Culture Week (October 16- 20), which is centered around Culture Day, October 19, the third Saturday of October, a diverse range of participatory and interactive events are being planned at Culture Station Seoul 284, in the old Seoul Station building. It’s titled “I am an Artist. This is Cultural Village.”

Promotional poster for the Month of Culture campaign
Promotional poster for the Month of Culture campaign

As part of the events, clubs, associations, dance troupes, theatre groups and other assorted “cultural societies” from across the nation will join together at Culture Station Seoul 284 to jointly celebrate the month of culture. There will be theatre performances in venues as small as just one pyeong, roughly 3.3 square meters. There will be art displays and musical performances. There will even be a phone booth book-exchange, where people bring their own books to exchange for others.

A festival to promote cultural values: community interaction, sympathy, sharing and consideration

A diverse range of cultural programs has been planned. Clubs, associations and art groups from across the nation will gather on October 12 at the Bundang Jandi Madang, in Bundang, and on October 19 at Culture Station Seoul 284, in Seoul, to celebrate Culture Month with competitions, displays and performances. A culture and arts festival specifically featuring disabled artists will be organized from October 1 to 15 at Seoul Square, in front of City Hall. It will remind us all that everyone in society should have access to culture, regardless of superficial differences. In addition, events focused on the elderly, who are about to start the second chapter of their life, will be held on October 16 at Cultural Station Seoul 284. Immigrants who are likely to form multi-cultural families and other non-Korean members of our community will be featured on October 16 and 17 at Cultural Station Seoul 284. An orchestra of adolescents will perform on October 20 at Deoksugung Palace, near City Hall.

Values and charms of Korean tradition to be shared

Gugak Performance at Noon will be held at Seoul Square, in front of City Hall, from October 16 through 18, in an effort to share Korea’s traditional musical delights. With the slogan, “Spirit, Youth, Tradition,” events will showcase performances of sajachum (lion-masked dance), Gaksori Noreum (a singing beggar), samulnori (traditional percussion music) and other folk instruments such as janggu and other drums. There will be free lunch for pasersby, as well.

There are also events planned around both language and fashion. In celebration of Hangeul Day, October 9, recently re-proclaimed as a public holiday, a Hangeul Culture Party will be held from October 7 to 13 at Gwanghwamun Square. The Culture Colored with Hanbok event on October 17 at Cultural Station Seoul 284, at Seoul Station, will introduce visitors to the beauty of Korea’s traditional clothing.

More information about the Month of Culture and Culture Week events is available at the official website (www.munhwamon.org) (only in Korean), or from the organizing committee itself (02 723 5057).
source: korea.net

Thursday, 3 October 2013

국내 '유네스코 세계유산' 지키는 대학생들

얼마 전 <정책공감>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어 있는 우리나라의 자랑스러운 유산들을 소개해 드린 적이 있었는데요.
 
 
유네스코 세계유산 지키기에 나선 대학생들이 있다고 합니다.
문화재청국가브랜드위원회, 유네스코한국위원회와 함께 지난 7월 4일 창덕궁 부용지 영화당에서 ‘청년 유네스코 세계유산 지킴이단’(이하 지킴이단)의 발대식을 가졌는데요.
 
문화재청은 개청 50주년을 맞이해, 전국의 대학생들에게 종묘, 공주·부여역사유적지구, 고창고인돌, 안동·하회마을 등  각 지역의 세계유산을 대상으로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이를 통해 우리 문화유산을 배우고 즐길 수 있는 특별한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올해 '청년 유네스코 세계유산 지킴이단'을 처음 발족하게 되었답니다.


 
<청년 유네스코 세계유산 지킴이단들, 앞으로 우리의 훌륭한 세계유산을 널리
알리고 지켜 주세요! 사진 출처: 문화재청>
 
청년 유네스코 세계유산 지킴이들은 발대식을 통해 정식으로 위촉된 후, 서울·경기, 충청권, 영남권, 호남권 등 권역별로 3~4일 일정으로「문화재사랑 캠프」에   참가하게 되는데요. 세계유산 현장에서 펼쳐지는 캠프에서는 다양한 문화재보호활동, 현장 답사, 관련 소양교육 등이 이루어질 예정입니다.
지킴이들의 활동, 궁금하시죠? 
지킴이단이 어떤 활동을 하는지, ‘청소년 교육문화’라는 주제를 가지고 ‘문화재사랑 캠프’에 참여하고 있는 서울권 ‘종묘팀’을 통해 같이 한 번 들여다 볼까요?
 
"하면 할 수록, 더욱 열심히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종묘팀의 단원들은 6일 이른 아침, 종묘에서 만나 진설(궁에서 제사를 지낼 때, 음식을 법식에 따라 상위에 차려 놓는 것)하는 법부터 배웠습니다. 이어 임금, 영의정, 좌의정의 옷을 입고 를 올리는 체험을 했는데요. 제사를 지내기 위해 단원들은 제기도 함께 운반했습니다.
 
제기를 운반하며 그 무게가 천차만별임을 의아하게 여긴 단원들이 이유를 묻자 지도를 맡은 김영남 강사는 “왕마다 제기를 따로 쓰는데 무게가 곧 왕의 권력을 나타낸다”고 설명해 주었습니다. 제가 끝난 후에는 선대왕을 기리는 마음으로 제기를 닦고 정리하는 봉사활동도 빼놓을 수 없겠죠.
 
<태릉에서 왕릉을 둘러보는 ‘종묘팀’ 단원들. 종묘팀 단원들은 시대별 능의 변화 모습과 능을 만드는 과정을 담은 시뮬레이션 영상 관람 후 능을 둘러봤습니다.>
          
이날 종묘에서 좌의정 옷을 입고 제를 지내서, 팀 내에서 ‘좌의정’이라는 별칭을 얻은 김현정(22·한림대)씨는 “처음 시작할 때는 이 프로그램이 형식적일 것 같다는 생각을 했는데 2박3일 동안 여러 가지 답사와 체험을 하면서 프로그램 내용이 좋아서 놀랐다”고 감탄하기도 했어요.
 
이어 김씨는 “이번 캠프 동안 우리의 세계유산인데 우리나라 사람보다는 외국인들이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 같아 아쉬웠다”며 “우리 유산을 제대로 알리는 데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는 생각이 들었다”는 소감을 밝혔습니다.

단원 맹유진(22·한림대)씨는 “이번 캠프에 오기 전에는 종묘 앞을 그냥 아무 생각없이 지나다니기만 하고 안에 들어가 볼 생각은 안했다”며 “이런 기회가 생겨 전문가들의 자세한 설명을 들을 수 있어 유익했”고 했는데요.

그는 또 “영의정, 좌의정, 왕의 복장을 하고 진설하는 방법도 배우고, 제기 닦기 등 일반인들은 할 수 없는 체험을 직접 해 볼 수 있어서 더욱 뜻깊었던 것 같다”며, 하면 할수록 자신들이 맡은 임무인 ‘세계유산 지킴이’를 더욱 열심히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덧붙였습니다.
 
인도에서 온 유학생도 “종묘제례악 인상적”

단원들 가운데에는 외국인도 보였는데요. 누구보다 집중해 설명을 듣고 있는 인도인 선저이 꾸마르(24·강원대)씨였습니다. 국립 국제교육원 학생으로 한국에서 한국학을 전공하고 있는 그는 “한국에 관심이 많아 한국의 문화유산을 느끼고 배우려고 ‘세계 유네스코 문화유산 지킴이’에 지원하게 됐다”고 지원 동기를 밝혔습니다.
  
<태릉 답사 전 단원들이 진지한 표정으로 강사로부터 태릉의 역사적 가치에 대해
설명을 듣고 있습니다>
 
꾸마르씨는 “특히 제를 올릴 때 음악(종묘제례악)이 정말 인상적이었”고 했는데요.  "한국의 문화유산이 힌두교과 비슷한 점이 많은 것 같다"면서 “이러한 점을 내세워 한국이 한류와 같이 한국의 세계문화유산을 세계적으로 교류하기 위해 좀 더 힘썼으면 좋겠다”는 바람도 잊지 않았습니다.
 
그는 또 앞으로 페이스북, 블로그, 유튜브 등을 통해 한국의 세계유산을 많이 알릴 계획이라고 했는데요. 외국인이 한국의 문화유산을 어떻게 바라보는지 확인할 수 있는 기회가 될 것 같아 기대가 되었습니다.
 
종묘에서 진설체험을 마친 단원들은 곧이어 서울시 노원구 공릉동에 있는 태릉을 탐방했는데요. 태릉에 도착한 단원들은 피곤한 기색 없이 전문가의 설명을 들으며 시대별 능의 변화 모습과, 능을 만드는 과정을 담은 시뮬레이션 영상을 관람했습니다.
 
부지런히 능에 대해 공부하는 동안 사진 촬영도 빼먹지 않았는데요. 태릉은 울창한 나무와 푸른 잔디밭으로 둘러싸여 있어 산책을 즐기는 사람들도 더러 있었거든요. 단원들은 전문가의 설명을 들으면서 능으로 올라갔습니다.

종묘팀의 팀장 신명환(22·한림대)씨는 “저희는 ‘종묘’ 팀이지만, 저희 팀의 목적은 문화재와 역사에 대한 교육, 체험 프로그램을 개발해 내는 것이에요. 저희는 체험 교구나, 학습 만화 등으로 일반인들의 관심을 많이 끌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만들 예정”이라고 말했는데요.

그는 “종묘에는 우리나라 사람들보다는 일본인, 중국인들이 많았다”면서 “왜 이렇게 좋은 문화가 관심을 못 받을까, 우리가 어떤 방향으로 홍보를 해야 할까, 고민을 하게 됐다”며 아쉬워했습니다.
 
이어 문화유적지 체험의 경우 관람시간 등이 제한적이어서 일반인들이 체험할 기회가 줄어드는 것 같다”며 “이런 체험을 영화관에 가는 것과 같이 편하게 즐길 수 있도록 ‘교육 문화’로 만들고 싶다”는 바램도 잊지 않았습니다.
  
연말까지 자율활동… 우수활동팀 시상도
 
김영남 강사는 “종묘에서의 체험으로 지킴이들이 앞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 지킴이’로서의 활동에 대한 많은 생각을 했을 것”이라며 “앞으로 지킴이들의 활발한 활동을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단원들은 태릉 탐방을 끝으로 2박3일의 ‘문화재사랑 캠프’ 일정을 마무리 지었는데요. 캠프가 끝난 후에는 2~5명씩 팀별로 사전에 작성한 활동계획서에 따라 대상 문화재별 특성에 맞는 홍보, 환경 개선, 연구 활동 등의 활동을 연말까지 자율적으로 시행하게 됩니다.

우수 활동팀에 대해서는 브랜드위원장상, 문화재청장상 등이 수여되는데요, 청년 유네스코 세계유산 지킴이의 향후 활동 내용, 행사 일정 등에 관한 정보는 공식 블로그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우리문화를 사랑하는 청년들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지킴 활동, 앞으로 기대됩니다!
http://www.wikitree.co.kr/main/news_view.php?id=39486
 

KOREA RISING


Korea has long been known as a "shrimp among the whales", boxed as it is among China, Japan, Russia and the United States in northeast Asia. While the divided Korean Peninsula's geopolitics continues to be shaped by the great powers, South Korea is rapidly emerging as a middle power to reckon with in Asia and beyond. South Korea has long been an economic powerhouse. What we are seeing today is Seoul's conscious search for a political and diplomatic role in Asia and beyond. Sustained high growth rates since the 1960s had transformed South Korea from a backward country at the end of World War II into the world's 12th largest economy (PPP terms) and 15th largest (nominal GDP) by 2012.

As the world's seventh largest exporter and eighth largest importer, South Korea is one of the world's important trading nations. Its companies have steadily moved to the export of sophisticated products, including nuclear reactors. Samsung, for example, is giving Apple a run for its money in the global markets for smartphones and tablets.

South Korea has free trade agreements with many countries, including the US, Europe, the Association of Southeast Asian Nations (ASEAN) and India. It actively participates in the building of an Asian economic community within a framework led by the ASEAN.

South Korean President Park Geun-hye is now building on her predecessor Lee Myung-bak's efforts to convert Seoul's growing economic power into political influence. Despite being hobbled by an unending conflict with North Korea, Seoul has begun to look beyond the Peninsula to establish a solid global strategic footprint. While holding on to its longstanding alliance with the US, Seoul has deepened ties with China and Russia, the major benefactors of North Korea. It has strategic partnership agreements with a number of countries, including Australia and Vietnam.
source:Indian Express

Wednesday, 2 October 2013

Stay, dine at old noble family houses


The house of Myeongsook Gong in Gangneung, Gangwon Province, is where visitors can experience traditional Korean meals passed dow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n the noble family.

The memory of food remains strongly in one’s mind. In the animation film “Ratatouille,” a dish of ratatouille brought back memories to a food critic of his mother and her cooking of the same dish. In real life, some will travel to Hong Kong to experience authentic dim sum and to the city state Singapore for chili crab.

Korea too has the well-known dishes of “bulgogi” and “bibimbap” that surprisingly taste good to the Western palate. Now, food makers want to broaden people’s experience of Korean food to know that there are stories — of families and country — in it.
A meal that the Myeongsook Gong family would usually serve for birthdays, in particular for the son-in-law’s first birthday following marriage into the family.

With that aim in mind, the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s and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have joined hands to bring the regional speciality food of “jongga” or the main household of a noble family and of a community.


Because of the seniority of the main household, it usually continues the tradition of rites and wedding food that have been passed on for centuries. People who value this tradition have come forth with a blueprint to build programs that will allow tourists to stay at old Korean-style houses and experience “jongga.” For example, the “gotaek” in Geochang, South Gyeongsang Province of the Chogye Jeong clan boasts of a special menu for guests while the Andong Kwon clan in Bongwha, North Gyeongsang Province passes on the tradition of “donggot” rice cake that is used in traditional rites.
The exterior of Yedamchon in Sancheong, South Gyeongsang Province, which offers a traditional local food experience.

The two ministries signed a memorandum of understanding to that end in June. Local governments such as Andong in North Gyeongsang Province, have been operating B&B schemes that have helped not only the visitors experience the traditional way of life but also revive the local economy in the region.


Currently, there are about 11 old traditional houses — usually those that are three to five centuries old — nationwide. But the government’s vision is to increase the number of repeat visitors who might travel to Korea for the food and the memories it produces.

The “Stay at Old Noble Family Houses” (tentative title)will start with two houses in the second half of 2013. The new initiative would be offering the full spread that noble families enjoyed in the past. The two sites that will open are the Seoji Choga Tteul in Gangneung, Gangwon Province and the Yedamchon in Sancheong, South Gyeongsang Province.
A table full of local and organic produce available at Yedamchon.

Seoji Choga Tteul offers food — its recipe and history — passed down from Myeongsook Gong of the Changnyeong Cho clan. Visitors staying in the old house of Myeongsook Gong can taste “jilsang” or a table of dishes that were prepared for those working out on the fields in the past. The birthday menu of Myeongsook Gong family is special as it features specialties such as pine mushroom rice and soup; “posikhae” that mixes bits of beef jerky with radish, red pepper and malt; “songjukdugyeonju” drink; mixed vegetables; “utgitteok” ora festive mix of rice cakes; tofu “jjim” or steamed tofu; “songineurimi” or pine mushroom on a stick along with salted cabbage, beef and green onion: parboiled tossed octopus; sweet rice with dates; seasoned beef; and steamed pollack. The place was featured in the “hallyu” star Bae Yong-joon’s photo-essay book on Korea.


Yedamchon in Sancheong was not a manor but a newly-built hanok or traditional Korean edifice that features food made with natural organic products such as apples, pear and persimmon. Persimmon-flavored vinegar or plum juice and condensed onion extract are also used. The representative choices on offer at Yedamchon are herb, “bibimbap” or mixed rice, steamed and pressed pork, tossed apple and persimmons, home-made tofu and pickled wild mountain vegetables.

The MOU plans to add five more houses by next year.

The food tourism initiative also aims to make jongga into a commercial product that will be placed on the Michelin Red Guide.
Source:Korea times
Courtesy of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ark government ups cultural spending




For the past few years, there have been growing calls for more government spending toward the arts and culture. Korea spends around 1.14 percent of its total budget on culture, and industry insiders are demanding a 2 percent range to catch up with OECD member states on cultural investments.

Amid challenging budget decisions, Korea has slowly increased its cultural spending in the last few years. The ministry announced Tuesday that the 2014 state budget on culture is 5.3 trillion won, a 5.7 percent increase from the previous year.

“Culture recorded the largest increase in next year’s budget, after welfare and employment,” First Vice Culture Minister Cho Hyun-jae said in a press conference. “We will see a continuous raise in the culture budget over the next few years. According to our roadmap, we can expect an average of 11.7 percent increase annually from 2015 through 2017.”

The underlining message of the latest culture ministry report on 2014 budgetary plans is that the Park Geun-hye administration is moving closer toward fulfilling the President’s targeted budgetary increments for culture. As a presidential candidate, Park had pledged that she will aim to achieve the “2 percent state budget on culture.”

She demonstrated an unusual focus on culture during her inaugural address, in which she defined “cultural prosperity” as one of the key agendas of her presidency. She used the word culture 19 times during the address, more than any other of her predecessors during the same occasion.

“There is no disagreement within this administration about the need for culture to ultimately take up 2 percent of the state budget during the President’s term, as she had given her word to the public on this before taking office,” Cho said. “The 2014 culture budget is the first step toward achieving this pledge.”

In elaborating on the budget composition, the vice minister introduced plans to subsidize more projects for bringing cultural experiences to underserved communities.

Next year will be a crucial year for several major sporting events. The ministry will devote 134.6 billion won for preparations for the 2018 Winter Olympics in PyeongChang and has acquired sufficient funds for the 2014 Incheon Asian Games and 2015 Gwangju Universiade. Around 23,000 new jobs will be created in the field of culture and sports. But there were no substantial plans to close the cultural gap between Seoul and other parts of the country.

Park has shown up at various cultural functions, most recently at a large-scale book festival in Paju, where she stressed that her administration will focus on bringing more innovation, creativity and wealth to the cultural sector.

She established the Presidential Committee on Cultural Enrichment in July to come up with new ideas for supporting a sector that is fundamentally important to quality of life and identity as a nation. The committee, however, hasn’t really done anything significant so far except hosting a series of seminars in various parts of the country.
Source:Koreatimes

Sunday, 29 September 2013

전국노래자랑 Sanjay Kumar in Korea fromhttp://www.youtube.com/watch?v=AIqajsBLSLQ India

한국을 알리고 싶은 인도인 유학생, 선저이 씨



겨울이 한 뼘 더 다가 온 날씨에 어깨를 움츠리게 된다. 바람하나 들어가지 않을 것 같은 가죽점퍼를 입고 환하게 인사를 건내던 그. 강원대학교 대학원생으로 한국학 석사과정을 밟고 있는 그. 너무나 유창한 한국말에 외국인 같지 않았던 그. 점점 쌀쌀해지는 11월의 어느 날 인도 국비 유학생 선저이 꾸마르씨를 만났다.


"한국, 인도 비슷해요."

Q. 한국학 전공한다고 알고 있는데 어떻게 한국학에 관심을 가지게 된 거에요?
제가 고등학교 2학년 때 신문을 보면서 한국에 대해 알게 되었어요. 식민지 경험, 국토 분단 이러한 면이 인도와 굉장히 비슷해요. 기사 내용 보면서 이러한 비슷한 면이 있다는 걸 알게 되었어요. 그리고 어떻게 한국은 선진국 대열에 올라가게 되었는지 알고 싶어서 한국에 대해 더 공부하게 되었죠. 그렇게 한국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었는데 인도 네루 대학에 한국어 학과가 있는 것을 알게 되었어요. 네루 대학은 교육비가 거의 무료에요. 이걸 알고 일석이조라고 생각했어요. 제가 관심 있는 한국학을 거의 무료로 배울 수 있으니까요.

Q. 다른 대학에도 한국학 전공이 있는데 어떻게 강원대로 오게 되었나요?
제가 2009년 9월 달에 처음 한국에 왔어요. 그런데 정부 초정 학생이라 1년 동안 어학연수를 해야 해서 원광대에 있었거든요. 원광대에 있으면서 한국학을 가르치는 대학을 많이 찾아보았어요. 그런데 일반 대학에서 외국인 학생을 대상으로 한국학을 가르치는 곳은 강원대 밖에 없었어요. 그래서 이곳으로 오게 되었죠. 여기에는 한국학 협동과정이 있기 때문에 다양한 학문을 접할 수 있어요. 한국의 다양한 면을 볼 수 있어서 더 좋아요.

강원대학교 캠퍼스


Q. 한국에서 생활을 하면서 대한민국이라는 나라를 어떻게 바라보고 있나요?

여기는 부지런한 사람이 많아요. 빨리 빨리하고 부지런한 사람이 많아요. 인도 사람들은 느긋느긋하고 게으른 사람이 많아요. 그리고 인도보다 부정부패 적어요. 뭄바이 같은 대도시 말고 지방에서는 일상생활에서도 부정부패가 만연하거든요. 여권발급 받기위해서 경찰한테 돈 줘야 해요. 이런 부정부패 때문에 인도에 빈부격차가 점점 더 커진다고 생각해요.

Q. 한국 생활하면서 어려웠던 점은 뭐에요?
처음에 음식이 입에 좀 안 맞아서 힘들었어요. 그런데 지금은 소고기 빼고 한국 음식 거의 다 잘 먹어요. 제가 종교가 힌두교라서 소고기는 먹을 수 없거든요. 한국에서 막걸리랑 파전 종종 먹어요. 인도 음식과 파전이 북인도 쪽에 ‘바즈까’라는 음식과 비슷하거든요.. ‘바즈까’는 채소와 밀가루 콩가루로 만들어요. 차랑 오후에 많이 먹는 음식인데 한국에서 파전을 간식으로 먹는 것과 같이 주식으로 먹지는 않지만 즐겨 먹어요.

Q. 한국 생활하면서 이해하기 힘들었던 것이 있었다면 무엇인가요?

술 문화 별로 안 좋아해요. 대학생들이 술 마시면서 쓸모없는 이야기만 하는 것 같아요. 그리고 서양 문화를 지나치게 위로 우러러보는 경향이 있는 것 같아요. 또 저는 그런 차별을 받는 적은 없지만 인종차별이 존재해요. 방송에서도 봤는데 동남아사람, 백인 그리고 아프리카 사람에 대한 이분법적 잣대가 존재해요. 한국은 경제적으로 많이 성장했는데 왜 그런 시선들이 존재하는지 이해하기 힘들어요.


“한국 대학생들 술 많이 마셔요”
Q. 선저이씨가 생각하는 인도 대학과 한국 대학의 차이는 뭐에요?
문화적 차이요. 학생들의 생각의 차이도 있구요. 인도에서는 교수님과 학생들이 같이 술 마시지 않아요. 그래서 여기는 술 문화가 발달된 것을 보고 놀랐어요. 그리고 기숙사에 살고 있을 때 놀란 점이 있었는데요. 인도에서는 샤워 할 때 속옷이라도 입는데 여기는 아무것도 입지 않고 샤워하는 것이 인상적이었어요. 이 두 가지는 기억에 가장 많이 남아요.

Q. 두 나라의 대학에 차이가 있는 것처럼 인도대학생들과 한국대학생들의 공통점과 차이점도 분명 있을 텐데요. 어떤 차이점과 공통점이 있나요?
제가 느꼈던 가장 큰 차이점은 ‘한국 대학생들은 좀 많이 논다’에요. 제가 다녔던 네루 대학을 말하자면, 거기는 술자리 이런 거 많이 안 만들어요. 그리고  술자리에서 정치, 경제, 역사에 대해서 이야기를 많이 나누지 게임하지 않아요. 저도 처음 한두달은 술자리 참가 했었지만 이제는 안가요. 이런 문화가 인도 학생들에게는 적응하기 힘든 점이 될 수 있겠다고 생각해요. 공통점은 청소년이라서 그런 것 같은데요. 불의를 참지 못하는 거요. 한국 학생들은 어떤 사건을 보고 자신의 빨리 자신의 의견을 가지는 것 같아요. 인도 학생들도 그렇거든요. 그리고 취업에 대한 고민도 인도와 한국 학생들의 공통점이에요.

Q. 방금 한국 학생들은 술자리를 자주 가진다고 말씀하셨는데요. 선저이씨가 바라보는 한국대학생은 어때요? 그들의 특징이 있나요?
지금까지 총 4개의 대학에서 공부를 했는데 대학마다 문화가 있고 특징이 있어요. 어떤 학교 학생은 좀 더 놀기를 좋아하고 어떤 학교 학생들은 자신의 의견을 자유롭게 표현해요. 제가 지금 공부하고 있는 강원대 학생들도 특징이 있는데요. 강원대 학생들은 외국인 학생들을 만나는 것을 즐겨하는 것 같지 않는 것 같아요. 그리고 한정된 주제에 대해서만 이야기를 나누는 것 같고 춘천은 재미가 없는 곳이라 생각하는 것 같아요.

Q. 앞으로 어떤 길을 가고 싶어요?
한국을 알리는 역할을 하고 싶어요. 제가 한국어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여기까지 올 수 있었다고 생각해요. 아직 한국에 대해 모르는 인도 사람이 많아요. 한국을 북한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고 삼성 핸드폰을 쓰면서 어느 나라 회사인지 모르는 사람도 있구요. 저는 한국에 대한 아주 일반적인 지식을 흩뿌리고 싶어요. 한국은 민주주의 국가이고 한국 드라마는 이렇다, 뭐 이런거요. 그리고 인터넷을 접할 수 있고 부유한 사람들 보다는 소외된 계층들에게 한국을 알리고 싶어요. 이렇게 의미 있는 한국 학자가 되고 싶어요.

한국을 알리는 사람이 되고 싶다는 Sanjay 씨


한 시간 남짓의 시간이 어떻게 흘렀는지 몰랐을 정도로 그와의 시간은 유쾌했다. 한국인보다 더 한국에 관심이 많은 그. 인터뷰가 끝나고 강원일보, 강대 신문 등 그동안 여러 매체와 인터뷰를 했지만 인도이야기를 많이 할 수 있어서 좋았다고 조심스레 밝히던 그의 모습이 생각난다. 미래의 어느 날 ‘의미 있는’ 한국 학자가 된 그와 인도에 대해 더 많은 이야기를 나누어보기를 기대하며 그의 꿈을 응원한다.

청년유네스코세계문화유산지킴이 한국문화글로벌화팀장 선저이 꾸마르 씨

 "아시아의 매운 고추, 한국을 세계에 알리고 싶다"
 
청년유네스코세계문화유산지킴이 한국문화글로벌화팀장 선저이 꾸마르 씨
 
 
  
청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지킴이단의 한국문화 글로벌화팀장을 맡은 선저이 씨는 지난 7월 4일 발대식에서 국가브랜드위원회 이배용 위원장에게 임명장을 받았다.
한국을 뜨겁게 사랑하는 인도의 젊은이가 우리문화를 세계에 알리는 임무를 맡았다.

지난 7월 4일 청년 유네스코 세계유산 지킴이단(이후 지킴이단) 발대식에 참석한 선저이 꾸마르(24, 강원대 한국학 석사과정) 씨는 둥글둥글한 얼굴에 호기심어린 눈빛을 지닌 쾌활한 청년이다.

인도 네루대학에서 한국어와 문학, 문화를 전공하고 2009년 정부초청 장학생으로 한국에 왔다. 원광대에서 1년간 한국어 어학연수 후 한국학을 전공하고 싶어 강원대에서 석사과정을 밟고 있는 선저이 씨는 유창한 한국말로 한국문화에 대한 관심을 나타냈다.

  
선저이 씨는 "한국과 한국문화를 널리 세계에 알리는 것이 한국학을 전공하고 한국을 사랑하는 본인의 의무"라고 했다.
그는 "지난 10년 동안 인도에 한국기업이 급속히 증가해 거리를 지나는 학생이나 시민들이 한국 휴대폰을 들고 다니거나 한국산 차가 지나는 모습을 쉽게 볼 수 있다. 신문에서도 '한국은 아시아의 작은 고추인데 아주 맵다. 매우 짧은 시간에 경제 선진국으로 올라간 나라 중 하나이고 특히 아시아에서 발전모델로 배울 점이 많은 나라'라고 소개한 것을 보고 한국에 대한 관심을 갖게 되었다."고 계기를 밝혔다.

"한국에 온 이후 한국문화를 쉽게 접할 수 있고 다양한 사람들의 의식을 알게 되어 한국을 더 깊이 알 수 있는 절호의 기회를 갖게 되었다."는 선저이 씨. 그는 작년 세계외국인말하기대회에서 3등을 차지한 것은 물론 각종 한국어말하기 대회와 외국인 노래대회에도 출전한 경험이 있다. 문화소사이어티에서 개최한 트로트 가요제에서도 1등을 차지한 그는 ‘무조건’ ‘나의 황진이’ 등 트로트를 좋아하고 이승철 노래도 매우 좋아한단다.

선저이 씨는 “한국학 전공자로서 자부심을 갖고 있다. 12억 인도 인구 중에 한국을 잘 모르는 사람이 아직 많다. 프랑스학, 스페인학, 중국학, 일본학은 잘 아는데 비해 한국학에 대해 비교적 아는 사람이 적다.”고 안타까워했다. 

그래서 그는 국가브랜드위원회가 주관한 WSK(국내 주요포털을 통해 블로그를 운영해 한국을 알리는 해외블로거(World Students in Korea) 활동을 하고 있다. 영어로 된 자신의 블로그에 한국과 인도에 관련된 자료를 올려서 인도뿐 아니라 세계 여러 나라 사람들에게 전한다.

선저이 씨는 현재 자신이 사는 춘천을 ‘호반의 도시’라고 자랑하며 “이번에 춘천에서 2011 마임축제를 했는데 매우 재미있었다. 자원봉사를 하는 깨비활동을 하며 외국친구들에게 축제를 마음껏 홍보했다.”고 했다.

지킴이단에서 그가 팀장을 맡은 한국문화 글로벌화팀에는 중국학생 1명, 몽골학생 2명이 함께 활동하고 있다고 한다. 그는 "그동안 한국과 인도는 경제적인 협조를 잘 해왔고 집중했다. 한국과 인도는 문화면에서도 비슷한 점이 많아 문화적 교류와 협조가 잘 이루어졌으면 한다. 인도뿐만 아니라 중국, 몽골과도 교류 협력했으면 한다. 한국문화의 글로벌화를 위해 이번 활동이 의미 있고 한국학을 전공한 본인의 의무라고 생각한다." 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코리안스피릿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

한국을 사랑하고 공부하는 인도에서 온 청년 (Sanjay Kumar,선저이 꾸마르), Korea

한국을 사랑하고 공부하는 인도에서 온 청년

                     



대한민국의 브랜드 가치는 급상승 중이다. 일본에서 불이 붙은 한류는 동남아와 중국으로 번지더니 이제는 미국과 유럽에서도 대박 신화를 만들어 낼 것 같은 분위기이다. 얼마 전 뉴스는 프랑스에서 한국 걸 그룹의 콘서트 표가 완전 매진이 되었고 표를 사지 못한 팬들이 시위를 벌였다는 좀처럼 믿기지 않는 사실을 보도한 바 있다. 대한민국이 만들어 낸 문화 콘텐츠가 전세계를 감동시키고 즐겁게 만드는 역할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마음이 뿌듯하지 않을 수 없다.

 
이런 추세를 반영하듯이 세계 각국의 젊은이들이 한국을 배우러 찾아오고 있다. 이제 대학에서 외국인 학생을 찾는 것은 아주 쉬운 일이며, 한국에 오기 전에 이미 한국어나 한국 문화를 전공하고 들어오는 학생도 많아졌다. 한국에 대한 단순한 흥미가 아닌 한글의 매력에 푹 빠진 것도 모자라 한국 문화에 대해 더 배우고 싶어서 한국에 들어와 사는 학생들마저 있을 정도다. 인도 최고의 명문대학인 JNU(Jawaharlal Nehru University)에서 한국어를 전공하고 현재 한국에서 한국학 석사과정에 재학 중인 산제이 쿠마르 씨를 인터뷰하는 귀중한 시간을 가졌다.

 
Q1 본인 소개를 간단히 해주시기 바랍니다.
 
저는 산제이 쿠마르(Sanjay Kumar)라고 합니다. 1988년 10월 인도 비하르(Bihar) 주의 파트나(Patna)에서 태어났습니다. 현재는 대한민국 춘천에 있는 국립강원대학교에서 한국학을 공부하고 있습니다. 한국이란 어떤 나라인가라는 호기심도 생겼고 한국문화와 언어에 대해 관심이 많았기 때문에 2006년 자와할랄 네루대학교(Jawaharlal Nehru University)에 입학하여 한국어와 한국 문화, 그리고 한국과 관련된 여러 가지 사항에 대해 공부를 시작하였습니다. 인도에서는 한국어를 전공하여 학사학위를 받았고,한국에서는 한국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을 예정입니다. 2009년에 한국 정부로부터 장학금을 받게 되었고 한국으로 공부하러 오게 되었습니다. 한국에서 3년 동안 공부를 한다고 해서 반만년 역사를 가진 한국의 언어와 문화를 다 이해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그러나 한국에 대한 애정만큼은 누구보다 강합니다.
  

한국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독도에도 갔다



Q2 산제이 씨의 고국인 인도에 대해 간략히 소개해주시기 바랍니다.  
 
인도는 다양한 문화가 공존하는 나라입니다. 힌두교나 불교 등 위대한 세계 종교의 발상지이기도 하고 민주주의를 이룩하고 만들어 가는 과정에서 한국과 많은 점에서 비슷한 나라라고 생각합니다. 이런 점에서 인도와 한국이 함께 한다면 세계를 감동시킬 수 있습니다. 한국과 인도가 양국의 여러 가지 차이점을 극복하고 모범적인 외교관계를 만들어 나가면 좋겠습니다.
 
 
Q3 한국에 와서 공부하게 된 주된 이유와 한국에서 공부를 마친 후에는 어떤 일을 하실 예정인가요.
 
외국의 침입, 식민지 지배, 지역적 분열 등 인도 대륙과 한반도는 많은 면에서 비슷한 경험을 했습니다. 한국의 문화, 역사, 정치에 대해 알게 된 후부터 저의 한국에 대한 관심은 점점 늘어가게 되었고, 한국을 보다 가까이서 배우고 이해하는 것이 큰 의미로 다가왔습니다. 사실, 일반 인도사람들은 아직도 한국에 대해서 잘 모릅니다. 제가 좋아하는 한국을 인도사람들에게 더 알리고 싶은 마음이 생겼고 이런 마음이 저에게 큰 촉매제가 되었다고 생각합니다. 한국을 보다 체계적인 방식으로 연구하고 살펴보고 싶어졌는데, 한국이 21세기에 들어와 국제 사회에서 경제적으로 더 중요해졌기 때문이라고 말할 수 도 있지만 5천 년의 역사를 가진 한국이 만들어 낸 역사와 문화 유산을 알고 싶어진 것이 더 중요한 이유였습니다.
 
인도에서 공부하는 동안 많은 사람은 저에게 한국에 대해 질문했습니다. 그들은 한국과 북한에 대해 혼란을 느꼈습니다. 그런 이유로 어떤 사람은 한국이 핵무기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했고, 또 다른 사람은 북한이 올림픽을 치루었다고 생각할 정도였습니다 . 한국은 잘 알려져 있지 않았기 때문에 한국학은 중국학이나 일본학 또는 프랑스학이나 다른 국가학에 비해 저평가 된 것이 사실이었습니다. 그러나 이런 상황이 오히려 저에게는 한국학을 더 공부할 수 있게 하는 원동력이었습니다. 저의 꿈은 한국을 제대로 이해하고 아는 한국학 학자가 되는 것입니다.
  

여행을 좋아하여 한국의 곳곳을 여행하는 산제이



Q4 한국에서 생활하면서 기억에 남는 에피소드를 한가지 소개한다면.  
 
인도에서는 공동으로 목욕을 하거나 샤워할 경우에는 최소한 속옷을 입고 하는데 한국의 대중 목욕탕에서는 옷을 모두 벗고 하는 것을 보고 큰 충격을 받은 적이 있습니다. 물론 2009년도의 일입니다. 그 당시만 해도 저는 한국의 문화에 대해 잘 몰랐던 것이 사실입니다. 물론 지금은 한국식 사우나를 아주 좋아하게 되었습니다. 지금은 한달 한번쯤은 대중 사우나에 갈 정도가 되었습니다.

Q5 일본학이나 중국학에 비해 한국학은 초기 단계라고 생각합니다. 한국학이 보다 경쟁력을 갖추고 세계적인 학문이 될 수 있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 지 의견을 말씀해 주십시오.
 
우리가 잘 알다시피 일본학이나 중국학은 이미 전세계적으로 광범위하게 연구되고 있습니다. 한국학을 보다 보편적으로 알리기 위해서는 첫째, 한국 정부는 단순하게 한국어를 보급하는 수준이 아니라 한국의 역사에 대한 사항을 대대적으로 알리고 관장할 수 있는 부서를 만들어야 합니다. 둘째, 한국 정부는 역사적으로 한반도에 존재했던 각 왕조에 대한 특색을 집중적으로 조명해야 하며, 한국의 전통문화와 사회, 일제시대의 저항 정신, 그리고 한국 전쟁과 현대 한국 문화 등을 중고등학교의 교과서에서 자세하게 기술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셋째,대학교육에서도 한국의 역사를 아주 의미가 있는 방식으로 가르쳐야 합니다. 입시위주로서의 역사가 아닌 한국문화의 아름다움을 대학생 스스로가 깨닫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해주어야 합니다. 넷째, 한국학과 한국어에 정통한 선생님을 전세계적으로 채용해야 합니다. 물론 이것은 제 개인적인 생각입니다만, 한국어와 한국의 역사에 대해 재미있는 강의를 할 수 있는 선생님들은 학생들에게 한국학의 중요성을 잘 설명해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꽃과 함께 한 컷



Q6 문화적으로 볼 때, 한국과 인도의 가장 큰 차이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음식에 있어서 너무 큰 차이점이 있습니다. 인도에서는 쇠고기를 먹지 않지만 한국에서 쇠고기는 물론이거니와 돼지고기를 포함한 다양한 고기가 요리 재료로 사용됩니다. 각종 해산물을 이용한 음식도 인도보다 훨씬 다양합니다. 음주 문화도 차이가 아주 큽니다. 한국에서는 사람들끼리 대화하고 소통하는 데 음주가 아주 보편적인 거 같습니다. 인도에서는 한국 같이 무엇이든 빨리 하는 문화는 없습니다. 빨리 하는 것이 좋을 수도 있지만 반드시 좋지는 않습니다.

 
Q7 마지막으로 한국 사람들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이제 모두 협력하여 한국을 세계에 알리는 일을 함께 하자고 말하고 싶습니다. 저 같은 인도 사람도 한국에 흥미를 가지고 한국에 와서 살면서 한국에 열광하는데 한국 사람들이라면 저보다 더 잘 할 수 있지 않을 까요. 우리 모두 화이팅!
 

한국에서 여러가지 활동을 하고 있는 산제이



산제이 씨가 마지막으로 한 말은 상당히 인상적이다. 인도인으로서 한국을 좋아하여 한국에 와서 한국학을 공부하며 한국을 전 세계 알리고 싶은 마음인데 한국 사람은 더 잘 할 수 있지 않느냐라는 반문은 많은 것을 생각하게 한다. 산제이 씨를 인터뷰하는 동안 서울의 고궁에 있는 건물 하나하나를 우리는 얼마나 알고 있는지, 외국 사람들에게 자세하게 설명할 수 있는 우리 문화 유산은 몇 개나 되는지, 우리가 매일 먹는 한국 음식에 대한 지식은 얼마나 가지고 있는지에 대한 생각이 머리를 스쳐지나 갔다. 우리가 외치는 대한민국이라는 브랜드는 과연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답을 찾고 싶었다. 한류에 열광하는 외국인들의 모습에 우리가 도취되어 있을 때, 산제이 씨는 우리 스스로가 우리 것이기 때문에 오히려 소홀했던 것에 대해 애정을 가지고 세심하게 바라다보고 있었다. 아름다운 봄날 멋있고 스마트한 인도인 청년을 만난 것은 나에게 큰 행운이었다.

लोकतांत्रिक जनादेश और दक्षिण कोरिया

    दक्षिण कोरिया ने हाल ही में एक अत्यंत महत्वपूर्ण राष्ट्रपति चुनाव के माध्यम से अपने लोकतांत्रिक विकास की एक निर्णायक दहलीज़ पार की है।...